알라딘 중고매장

미리보기
  • 최저가 : -원 I 최고가 : -원
  • 재고 : 0부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동탄점] 서가 단면도
(0)

여덟 명의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이 직접 쓴 폭력 현장의 기록이다. 한국여성의전화 부설기관인 ‘쉼터’로 탈출해온 여성들이 열두 번의 글쓰기 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글로 썼다. 1987년 한국여성의전화에서 처음 개설한 ‘쉼터’는 여성폭력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자 여성들의 방공호다. 이 책은 쉼터가 세워진 지 30주년이 된 것을 기념하는 책이기도 하다.

어느 정도 알고 있지만 정확히는 몰랐던 가정폭력의 현장은 책 한 장을 넘기기 힘들 정도로 처참하고 끔찍하다. 하지만 되려 필자들은 “나는 아름다운 생존자”라고 외치며 과거의 끔찍한 경험과 지금 그려나가는 희망찬 삶을 글로 만들어냈다. 우리는 또다시 폭력을 경험하는 듯한 고통을 이겨내고 글을 쓴 필자들의 용기에 찬사를 보내고 귀 기울여야 한다.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어쩌면 외면하고 싶었을지도 모를 가정폭력이란 문제가 ‘사소’하지 않고 ‘중요’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첫문장
스물두 살, 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에 다닌 지 3개월쯤 되었을 때였다.

정희진 (이화여대 초빙교수, 《정희진의 공부》 편집장)
: 이 책에 실린 글을 읽고 믿어지지 않는다면, 나는 ‘정상’이라고 본다. 피해 여성을 상담하고, 공부하고, 책을 쓴 나도 믿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일상의 홀로코스트다. 여기 실린 생존 여성들의 글을 유심히 읽으면, 문장과 문장 사이가 떠 있음을 깨닫는 독자가 있을 것이다. 쉽게 말하면, ‘연결이 안 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글이 ‘비논리적’으로 보인다. 이런 문장은 현실이 믿어지지 않는 데 일조한다.
왜일까. 내 해석은 이렇다. 녹취록처럼 가해 남성의 행동을 상세히 묘사해도 문장들 사이가 연결되지 않고 ‘뭔가 말이 안 된다’. 그것은 남성들의 행동이 정말 그렇기 때문이다. 아무리 그들을 이해하려고 해도, 도무지 왜 저러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그러나 우리의 고민은 여기서 끝나야 한다. 왜 때리는가? 이런 질문이 바로 폭력이다. 그들을 이해할 필요가 없다. 그들은 때릴 수 있으니 때리는 것뿐이다. 단지 그뿐이다. 대신 우리가 질문해야 할 것은 이것이다. 왜 사회는 여성의 경험을 믿지 않는가? 왜 국가는 이 문제를 사소하게 다루는가? 왜 우리는 언제나 이 문제가 ‘사소하지 않다’고 외쳐야 하는가?
지난 30년 동안 남성 사회에서 이 공간을 위해 노력한 수많은 여성들을 존경한다. 우리는 ‘노벨 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 우리는 살아남았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살아남은 이들의 궤적이고, 우리가 살아갈 방향이다.
정희진 (이화여대 초빙교수, 《정희진의 공부》 편집장)
: 자기 경험을 믿지 못하는 여성들

최근작 :<그 일은 전혀 사소하지 않습니다>,<쉼터이야기>,<그는 때리지 않았다고 한다> … 총 19종 (모두보기)
소개 :한국여성의전화는 폭력 없는 세상, 성 평등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1983년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한국 사회 최초로 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상담을 도입했고, 1987년 여성폭력에 대한 저항의 상징인 ‘쉼터’를 개설했습니다.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이주여성 문제 등 여성에 대한 모든 폭력으로부터 여성인권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활동을 합니다. 현재 전국에 25개 지부가 있으며, 여성에 대한 폭력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어가고자 열심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오월의봄   
최근작 :<당신의 작업복 이야기>,<상처받지 않을 권리 다시 쓰기>,<야망계급론>등 총 219종
대표분야 :한국사회비평/칼럼 3위 (브랜드 지수 157,535점)
추천도서 :<폭력과 존엄 사이>
은유 작가의 간첩 조작 사건 피해자 인터뷰집. 국가권력의 무자비한 고문과 폭력 속에서도 삶을 놓지 않은 이들의 목소리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책 속에서 독자들은 고문이나 오랜 수감 생활이 고통을 넘어 자기 자신을 새롭게 발견하는 시간으로, 혹은 더 단단한 인연을 다지는 시간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을 보게 된다. 작가는 오랜 시간 이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며 그 순간들을 생생하고도 섬세하게 포착해냈다. 

임세현(편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