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중고매장

미리보기
  • 최저가 : -원 I 최고가 : -원
  • 재고 : 0부
  • - 쇼핑목록에 추가하신 후 목록을 출력하시면 매장에서 간편하게 상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부산덕천점] 서가 단면도
(0)

<몸의 증언>의 저자 아서 프랭크가 자신의 질병 경험(특히 암)에 대해 쓴 개인적인 에세이다. 사회학 교수로 젊고 건강했던 저자는 39세에 심장마비를 겪고 그 다음 해에는 고환암 진단을 받았다가 수술과 화학요법을 통해 회복한다.

이런 경험이 책을 쓰는 계기가 되었지만 <아픈 몸을 살다>를 질병 수기라는 말로 전부 설명하기엔 부족한데, 이 책은 우리가 보통 질병 수기라는 장르의 글에서 나올 것이라 기대하는 내용들, 즉 질병(고환암)의 증상-시도해 본 치료법-치료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과 고통-치료 성공과 일상으로의 복귀-다른 암환자들을 위 한 조언으로 이어지는 이야기 이상이기 때문이다.

질병이 가져오는 상실과 고통을 인정하면서도 그저 피해자의 이야기에서 멈추지 않는다. 또한 모든 어려움을 용감하게 극복해낸 흔한 질병 서사의 영웅 이야기도 아니다. 위험과 기회, 고통과 축복, 위기와 새로 얻은 삶 등 모순되는 요소들을 또렷한 비전을 가지고 함께 엮어 말하기 때문에 영적 차원의 울림도 크지만 '신이 주신 질병으로 삶이 변화되었다' 식의 간증과도 거리가 멀다. 세속적이고 평이한 용어들로 질병으로 인해 얻을 수 있었던 깊이를 드러냈다는 점이 이 책의 커다란 미덕이다.

첫문장
어느 날 몸이 고장 났다.

김영옥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 연구활동가, 《이미지 페미니즘》 저자)
: 아픈 몸을 살아낸다는 것, 그리고 어느 정도의 치료가 이루어진 다음에도 계속해서 아픈 몸으로 산다는 것은 삶을 이루는 근본적인 평등과 불평등에 관한 지각을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모두는 의지와 상관없이 질병을 갖게 되고 또 언젠가는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질병을 어떻게 경험하는가는 어떤 사회적 동의와 의료체계 하에서 어떤 치료와 돌봄을 받는가에 따라 심각할 정도로 상이하게 갈라진다.
이러한 평등과 불평등에 관한 지각은 스스로 아파보지 않으면, 아프면서 삶을 가로지르는 가능과 불가능의 경계에 섬뜩할 정도로 가까이 근접해보지 않으면 갖기 힘들다. 아서 프랭크의 책은 이 지각에관한 놀라운 통찰로 우리를 이끈다. 의미심장한 '사건'의 소용돌이 한가운데로 휘말려 들어갔던 '목격자'로서의 경험을 그는 섬세한 관찰과 분석적이면서도 감동적인 이야기로 풀어낸다. 환자로서 겪는 충격과 고통 그리고 치료의 과정을 자기로부터의 소외나 식민화된 타자성이 아니라, '이미 온전한' 자기임(being self)으로 경험하는 것은 바로 그 모든 것의 목격자가 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목격자는자신이 목격한 것을 진정성 있게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함으로써 윤리적 책임에 복속한다. 이제 다른 사람들은 마찬가지의 진정성을 갖고 그 이야기를 새겨듣는 청자의 책임을 기꺼이 받아 안아야 한다. 이야기를 매개로 주고받는 이 책임 속에서 우리는 질병이나 장애, 죽음이 누군가의 불행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공유하는 단 하나의 진실임을 깨닫고 그 진실이 촉구하는 삶의 의미를 질문하는 한편, 그 진실에 합당한 사회적ㆍ공적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만들어야 한다. 아서 프랭크가 자신의 아팠던/아픈 몸의 경험에 관해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으며, 공감하며, 우리가 도달하게 되는 통찰이 바로 이것이다.
질병도 장애도 늙음도 죽음도 온전히 존중받지 못한 채 타자가 되는 이 시대에 얼마나 소중한 통찰인지!
: 우리는 모두 갑자기 닥쳐와서 삶을 송두리째 억울한 고통과 절망에 빠뜨리는 예측할 수 없는 질병의 가능성 속에 살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각자 나름의 심각한 질병을 지니고 살고 있다. 직접 심장마비와 암을 겪었던 의료사회학자가 쓴 이 책은 따라서 우리 모두에 관한 이야기이다.
한국만큼 온 국민이 건강에 대한 강박감에 짓눌려 있으면서‘나쁜’병에 대한 공포와 혐오와 기피증이 강한 나라도 없을 것이다. 우리는 누군가 암, 심장병, 신종 난치병을 앓는다면 그를 ‘온전한’사람이 아닌 동정과 기피의 대상으로 삼으며 의학적 용어로만 설명되는‘비인간적’존재로 만든다. 당사자에게 질병은 의학적 증상이 아니라 ‘삶의 모든 측면을 건드리는 것’이기에 진단이 내려지는 순간 그는 모든 사람과 일상으로부터 낯선 존재가 되고 죄의식과 두려움과 미안함으로 고통을 침묵 속에 묻고 외로운 투쟁을 한다. 그러나 질병과 그로 인한 긴 고통은 우리의 삶의 일부이자 정상적 과정이며 다만 다른 삶으로 넘어가는 과정의 하나이다. 잘만하면 인간의 조건, 인간다움의 의미, 다시 설정해야 할 세상과의 관계를 발견하는 중요한 기회이다. 우리가 환자와 함께하는 것은 의학의 식민지가 된 몸에서 그를 다시 사람으로 발견하는 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질병에 가치를 부여할 줄 알아야 한다. 질병은 사회와 연결된 것이며 다중적인 의미와 관계가 그 안에 있기 때문이다. 그것을 일상의 부분으로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오히려 덤으로 얻는 삶을 갖는다. 그러므로 환자에게 목소리를 허용하고 함께 목소리를 나누어야 한다. 질병과 고통은 의학적 사건이 아니라 사회 공동체에서 지극히 일상적이고 정상적이며 온전한 사람의 일생의 한 부분이다. 이 책은 환자와 그의 친구, 의사, 간호사, 돌봄이, 그리고 잠재적 환자인 우리 모두가 읽어 볼 일이다. 나와 그를 포함한 우리 모두의 사회를 위해서.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 한겨레 신문 2017년 7월 20일자
 - 동아일보 2017년 7월 22일자 '책의 향기/150자 맛보기'

최근작 :<아픈 몸을 살다>,<몸의 증언> … 총 14종 (모두보기)
소개 :
최근작 :<새벽 세 시의 몸들에게> … 총 7종 (모두보기)
소개 :오래 아프면서 재밌고 즐겁고 아름다운 것이 생존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새삼 배웠다. 책 읽기와 넷플릭스 시청은 천일야화를 듣는 일과 같다. 해질녘 산책, 음악 안으로 녹아내리기, 강아지 끌어안기는 중대한 일이다. 작가이자 환자로 산 이들의 질병 이야기와 삶 이야기의 얽힘, 그리고 그들이 아프다는 경험을 어떻게 언어화했는지 살피는작업에서 요즘 가장 큰 재미를 얻고 있다. 《새벽 세 시의 몸들에게》(공저)에 〈‘병자 클럽’의 독서〉라는 글을 썼다. 옮긴 책으로는 아서 프랭크의 《아픈 몸을 살다》와 일래인 스캐리의 《고통받는 몸》이 있다.

봄날의책   
최근작 :<세상의 발견>,<사랑하는 일이 인간의 일이라면>,<코다크롬>등 총 53종
대표분야 :에세이 40위 (브랜드 지수 108,652점)
추천도서 :<아픈 몸을 살다>
우리는 누구나가 아프거나(아팠거나) 아픈 사람을 주변에 두고 있다. 하지만 아픈 몸을 산다는 것이, 또 아픈 사람을 돌본다는 것이 어떤 일인지를 잘 모른다. 그래서 뒤늦게 반성하고 또 후회한다. 이 책은 심장마비와 암을 앓았던 자신의 경험을 통해, 아픈 몸과 돌보는 존재에 대한 이야기를 찬찬히 들려준다. 잔잔하되, 오래가는 목소리로. 

- 박지홍(봄날의책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