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2024 제15회 젊은작가상 수.. 당신은 여기 있어요 조응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봄에는 젊은작가상, 김멜라 대상"
2024 제15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김멜라 외 지음 / 문학동네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을 읽으며 맞는 열다섯 번째 봄이다. 2021년부터 <나뭇잎이 마르고>, <저녁놀>, <제 꿈 꾸세요>라는 걸출한 작품으로 매 해 젊은작가상을 수상한, 사랑하고 욕망하는 작가 김멜라가 <이응 이응>으로 마침내 대상을 수상했다. 연인과의 '바로 그 포옹에서 시작'(48쪽)된 이 이야기는 '성적 욕망을 해소해주는 기계'가 있는 어떤 세계에서 감각 신경세포에 주어지는 (그야말로 기계적인) 자극이 아닌, 지금은 사라진 특정한 누군가와의 포옹을 그리워하는 인물 '오미자물'에게 귀를 기울인다. 살갗이 아니라면 우리가 놓이는 자리는 어디여야 하는지 질문하는 이 이야기는 오독의 가능성을 무릅쓰고 전진하는데, 놀랍게도 이야기의 끝은 '저녁놀'의 빛깔처럼 따스하다. 사랑하고 욕망하는 김멜라의 인물들은 일관되게 오해를 무릅쓰고 전진해왔다는 점에서, 작가의 현재가 집약된 소설로 읽혔다.

젊은 작가들의 이야기는 미래시제에 놓여 있다. 세상의 눈치를 보지 않고 수영 센터의 강습반에서 헤엄치는 느린 수영인 '주호'와 '희주'의 <어차피 세상은 멸망할 텐데>와 함께 읽을 수 있을 공현진의 미래소설, 문장웹진에서 2만 회 이상 읽힌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로 화제가 되기도 한 <보편 교양> 김기태의 미래 소설, 진짜 신할머니를 차지하려는 굿 장면이 광기로 번득거리는 <혼모노> 성해나의 미래소설 등을 기대해 본다. 김지연의 <반려빚>의 '그날 밤 꿈에서 정현은 반려빚과 함께 산책을 나갔다.'(207쪽) 같은 장면을 상상하며 나도 나의 반려빚을 잘 달래고 갚으며 도래할 소설을 만나기 위해 잘 살고 싶어졌다. 세계은 호락호락하지 않지만 우리는 여전히 소설 속에서 산책할 수 있다. 수상을 축하한다. - 소설 MD 김효선
이 책의 한 문장
할머니는 죽는 것도 이응 같은 거라고 했다. 이응처럼 코스를 선택할 순 없지만, 이응의 컬러볼처럼 삶에서 죽음으로 굴러가는 거라고. 이 색에서 저 색으로 바뀌는 것뿐이라고. 이응을 하는 것처럼 억눌려 있던 게 풀리면서 기분 좋게 흩어지는 거라고 했다. 아마 자신은 묵은똥을 싼 것처럼 가뿐할 것 같은데, 몸뚱이를 갖고 사는 게 늘 조금은 힘겨웠으니 거기에서 풀려나면 얼마나 시원하겠느냐고 했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10년 동안 글과 그림으로 녹여낸 마음"
당신은 여기 있어요
라에티티아 부르제 지음, 요안나 콘세이요 그림, 나선희 옮김 / 비룡소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마음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합니까?"라고 묻는다면 대부분 심장에 손을 갖다 댈 것 같다. 그게 아니라면 머리 정도일까. 정확한 사실을 알 수 없는 이 질문은 기쁨, 슬픔 같은 내 감정이 어디서 기인하는지 알려달라는 물음과 같다. 연필과 색연필로 자기만의 그림 스타일을 확고하게 보여주고 있는 요안나 콘세이요는 <당신은 여기 있어요>를 통해 그의 마음이 어디에 있는지 보여준다.

보여준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게 이 책은 반투명 트레싱지에 작업하였기에 책 오른쪽에 있는 그림은 넘겨야 할 다음 페이지가 아니다. 왼편으로 옮겨가며 매 순간 다른 이미지를 선사하는 장치가 된다. 덩그러니 놓인 흰옷 아래에는 손수건, 사과 그리고 맞잡은 손이 있다. 그 맞잡은 손 위로 쌓인 물건들은 작가 자신을 상징하기도 하며 그의 할머니, 그의 딸이다. 유년의 기억은 대를 이어 반투명한 종이 위로 쌓이고 쌓여 그들을 연결한다. 이곳에 있으나 없는 존재의 모순을 눈앞에서 보기에 속절없이 "더 이상 당신이 여기 없던 때부터 당신은 정말로 여기 있"음을 인정할 수밖에.

이쯤에서 다시 마음이 어디에 있느냐고 묻는다면, 눈길이 닿는 모든 곳에 있노라 답하겠다. 라에티티아 부르제와 요안나 콘세이요도 이 답에 수긍하지 않을까? 독자 여러분의 답은 어떨지 궁금하다. - 유아 MD 임이지
작가의 말
독자 여러분이 이 책을 좋아하고, 그 안에서 무언가 자신을 위한 것
서로를 가깝게 느낄 수 있게 하는 무언가를 발견하셨으면 좋겠어요.
저에게는 이 모든 것이 아주 아름다운 경험이었어요.
저보다 이전에 있었던 여성들에게 제가 받은 것들, 그리고 이후에 전해 주어야 할 것들을 생각하는 과정이었지요.
그래서 이 책의 맨 끝에는 가족의 초상화들, 할머니와 나, 나의 딸이 나오는 거예요. 그래서 이 책은 아주 개인적이고, 저에게 아주 가까운 책이기도 합니다.
저는 책을 제 삶과 완전히 분리된 것으로 생각하지는 못해요. 그래서 제 모든 책 속에는 저의 한 조각, 제 삶의 한 조각이 담겨 있습니다.

북트레일러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존재와 관계에 관한 아름다운 에세이"
조응
팀 잉골드 지음, 김현우 옮김 / 가망서사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읽지 않은 이에게 책을 권하려면 책의 내용을 뭉뚱그리고 축약하여 설명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종 몇 개의 단어들로 책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 자체가 어쩌면 책을 향한 해코지라는 생각이 든다. 기존의 언어로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한 책의 경우 특히 그렇다. 언어를 전달하는 방식과 그 안에 담긴 내용, 글에 흐르는 기운이 어우러져 새로운 세계를 감각하게 하는 책이라면, 그것을 읽지 않은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이 새로운 세계를 정의 내리고 요약하고자 하는 모든 언어가 이미 기존의 오염된 세계에 속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설명하기가 난감한 이유다.

팀 잉골드가 말하는 '조응'은 '상호작용'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상호작용이 "관계 사이에서" 나타난다면 조응은 "어우러져 나아가는" 일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그는 인간의 과도한 자아중심성을 넘어서서 비인간 생명체, 사물, 자연과 어우러져 관계 맺는 삶의 방식을 보여준다. 7년간 쓴 에세이의 모음인 만큼 주제와 소재는 다르지만 이 글들의 중심을 잡는 태도와 시선, 관점은 한결같다. 태도와 시선, 그것은 일정 부분 감각에 관한 것이기도 해서 이 책에서 느껴지는 정동은 이성의 필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읽는 이의 감각에 달라붙는다. 독서하는 동안 접신하듯 그의 눈으로 본 지금의 단절된 세상은 뒤틀리고 괴이한 구석이 많으며, 또한 서로가 얽히며 존재하는 세계는 아름답다. 엮임과 얽힘, 순환과 생성에 관한 통찰 깊은 문장들은 계속해서 영감을 제공한다. 단단하고 깨끗한 힘으로 가득 찬 이 에세이는 우리의 존재 방식을 강하게 흔든다. - 인문 MD 김경영
이 책의 한 문장
인간을 넘어선 세계의 진실은 그 무엇도 고립되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은 비인간과 세계를 공유한다. 그리고 그와 마찬가지로 비인간도 각자의 입장에서, 돌은 돌 아닌 것과, 나무는 나무 아닌 것과, 산은 산 아닌 것과 세계를 공유한다.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이 봄, 사랑에 빠진 여우 아저씨의 이야기"
책 먹는 여우의 봄 이야기
프란치스카 비어만 지음, 송순섭 옮김 / 주니어김영사
장바구니 담기자세히 보기100자평 쓰기
프란치스카 비어만 작가의 <책 먹는 여우> 계절 시리즈는 2020년 겨울 편, 2022년 여름 편이 국내 소개되었다. 모든 이들의 마음을 살랑살랑하게 만드는 2024년의 봄, 여우 아저씨의 봄 이야기를 새롭게 선보인다. 분홍빛 바탕색에 하트가 군데군데 그려져 있는 표지가 읽기 전부터 마음을 설레게 만든다.

출판사 사장 빛나리 씨는 여우 아저씨의 새 책이 나오기만을 목 빠지게 기다리며 열다섯 번도 넘게 전화를 걸었다. 여우 아저씨는 책의 영감을 얻기 위해 봄 산책을 나섰다가 분홍색 곤충 '쿠피엘라 아모로사'의 침에 쏘이고 만다.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그 벌레의 침에는 사랑에 푹 빠지게 만드는 강력한 힘이 있어 분별력을 흐트러뜨려 온 세상이 분홍빛으로 보이게 만든다. 침에 쏘인 직후 우연히 마주친 화가 여우 미라 씨에게 푹 빠져버린 여우 아저씨는 본래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을까.

사계절 중 봄이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작가는, 초록빛 새싹, 꽃의 향기, 따스한 햇살, 봄바람이 마음속에서 좋은 감정을 일으킨다고 믿는다. 봄이 발산하는 밝고 좋은 기운과 작가만의 기발한 상상력을 담아 이 계절과 무척 잘 어우러지는 산뜻한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건넨다. - 어린이 MD 송진경
<책 먹는 여우>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