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이름:엄앵란 (嚴鶯蘭)

본명:Aing-ran Um

성별:여성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36년, 서울특별시 (물고기자리)

직업:배우

가족:배우자 신성일, 아들 강석현(배우)

기타:숙명여자대학교 가정학과, 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데뷔작
1956년 <단종애사>

최근작
2021년 10월 <[블루레이] 마부>

엄앵란(嚴鶯蘭)

깜찍한 햅번 스타일로 대중을 사로잡았으며 결코 바래지 않을 영원한 젊음까지 약속했던 엄앵란은 신성일과 함께 청춘영화의 상징으로 한국영화사에 기록될 것이다. 63년 청춘영화 <가정교사>(김기덕)와 <청춘교실>(김수용)의 히트 이후 이른바 신-엄 콤비 스타가 탄생했다. 그후 <맨발의 청춘>(64, 김기덕) <동백아가씨>(64, 김기) <배신>(64, 정진우) <떠날때는 말없이>(64, 김기덕) 등 일일이 열거할 수 없는 수많은 청춘영화들에서 신성일과 엄앵란은 상류층 또는 하층민 역을 서로 바꿔가며 사랑에 빠지고 이별하기를 수없이 반복했다. 그 대부분의 시간을 두려움 모르는 유희정신으로 버티었던 두 청춘스타는 좌절하거나 운좋으면 탈주에 성공할 불온한 욕망과 반항으로 60년대를 수놓곤 했다.

비록 “우울한 표정으로 무엇인가 응시하고 있다가도 금방 기분을 전환하여 웃기 시작하면 얼굴에서 웃음이 떠나지 않는 천진난만함을 가진” 청춘스타 엄앵란에 대한 기억이 강렬하긴 했지만 그녀가 늘 청춘영화의 주인공이었던 것은 아니다. <동심초>(59, 신상옥)에서는 당시로서는 보기 드물게 어머니의 앞길을 막지 않는, 지적이며 사려깊은 딸로서 현대의 모럴과 모녀관계, 젊은 여성의 애환을 섬세하게 드러냈다. 이성구 감독의 사회적인 청춘물 <젊은 표정>(60)에서부터 엄앵란의 연기는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김화랑 감독의 <딸>(60)에서 그녀는 홀아비 김승호의 딸 역을 정감어리게 표현했다. 그러나 이 무렵부터 엄앵란은 이제 연기폭을 넓혀 좀더 깊이 파고드는 연기를 해야 한다는 충고를 자주 듣게 된다. 귀여운 딸이나 청초한 여대생 역할이 엄앵란의 전매특허로 여겨질 만큼 고정된 연기세계에서 머물러 있었던 것이다. 예컨대 <로맨스 빠빠>(60, 신상옥)와 <박서방>(60, 강대진)에서 그녀의 딸 역할은 똑같이 상투적이었다.

그런 엄앵란에게 새롭게 주어진 역할은 황해, 허장강, 최남현, 장혁 등의 액션스타들 틈에 끼어 말타고 총쏘고 달리는 <지평선>(61, 정창화)에서는 아버지 김승호에게 버려진 후 소매치기가 되고 남자들에게 주먹을 날리는 여자 깡패였다. 당시 관객의 주류를 이루던 아줌마 관객들은 선머슴 같은 모습의 그런 엄앵란에게서 짓눌린 삶의 울증을 풀어주는 일종의 대리만족 같은 것을 느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엄앵란은 늘 연기보다는 다른 무엇 때문에 주목받는 스타였다. 그녀는 무엇보다도 ‘학사 여배우 1호’였다. 한국영화라면 경멸해마지 않던 대학생들도 단지 여대생 엄앵란이 주연했다는 이유만으로 영화를 보러갈 정도로, 엄앵란이 학사 배우라는 사실은 영화관객들에게 있어 하나의 호기기적인 사건이 되었다. 61년 시집 『사색의 구름다리』까지 출간한 지적인 이미지의 엄앵란은 특히 남녀 대학생에게 인기가 많은 스타였다.

엄앵란이 영화계에 입문하게 된 것은 숙명여대 가정과에 진학한 그해 봄, 전창근 감독의 <단종애사>(56)에서였다. <단종애서>의 어린 송비(宋妃) 역을 연기할 마땅한 여배우를 찾지 못해 고심하던 전창근 감독은 부인 유계선으로부터 노재신의 딸 엄앵란을 추천받게 된다. 종로 1가부터 동대문까지 당의에 트레머리를 한 엄앵란의 사진이 거리를 뒤덮고 국도극장에 <단종애사>의 간판이 붙자 이 청순하고 애틋한 이미지의 신인은 하루아침에 스타가 되었다.
명성의 첫 단추는 그녀의 태생에서 시작되었다, 대중음악가인 엄재근과 배우 노재신 사이에서 태어난 엄앵란은 대중예술이 낯설지 않은 분위기에서 자랄 수 있었다. 양친 외에도 많은 친척들이 연예계에서 활동하고 있었는데, 그 가운데 유명한 사람으로는 아버지의 친동생으로 ‘토미와 그 악단’을 지휘하던 엄토미(예명)가 있었다. 연예인 집안에서 태어난 것만으로도 화제가 되었던 엄앵란은 학사배우라는 간판과 더불어 누구보다도 저널리즘의 혜택을 많이 받았고 비교적 어렵지 않게 스타의 길에 올라섰다. 일례로 엄앵란은 데뷔작 <단종애사>에서 그 자신으로보다는 여배우 노재신의 딸로서 광고되었고, 영화는 크게 히트하여 10만 관객을 동원했다. 이러한 출신배경을 고려할 때 엄앵란이 타고난 배우 기질을 보였다는 시실은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64년 11월 14일의 성대한 결혼식은 이 청춘영화의 아이콘에게 어두운 현실의 시작이었다. 이 공식적인 은퇴 이후, 결코 달콤함과는 거리가 멀었던 신혼기를 보내면서 엄앵란의 가는 허리는 갑자기 30인치로 늘어가 버렸기 때문이다. 그녀의 은퇴 이후 계속되는 흥행실패로 위기에 처한 극동영화사가 신-엄 콤비를 다시 불러내어 재기를 노렸던 <아네모네 마담>(68, 김기덕)에서 불어난 몸매로 등장한 엄앵란은 결국 자신의 이미지를 스스로 깨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90년부터 성일시네마트 기획이사를 지내고 지금까지도 TV와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뛰어난 입담을 자랑하는 그녀의 실제 모습은 60년대 저널리즘이 만든 유약한 이미지보다는 얼마 전 출간된 『엄앵란, 뜨거운 가슴에 좌절이란 없다』(96)나 『그래도 세상은 살 만하다』(98)에서 간취할 수 있는 것처럼 인내로서 얻어낸 억척스러움이나 강인함에 더 가까운 것이다.  

대표작
모두보기
수상내역
1965년 제3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아름다운 눈동자>
1964년 제2회 청룡영화상 인기스타상
1963년 제1회 청룡영화상 인기여우상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