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에세이
국내저자 >

이름:김명환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59년, 대한민국 서울

최근작
2019년 11월 <볼셰비키의 친구>

김명환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84년 사화집 『시여 무기여』에 시 「봄」 등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89년 월간 『노동해방문학』 문예창작부장, 2000년 ‘철도노조 전면적 직선제 쟁취를 위한 공동투쟁본부’ 기관지 『바꿔야 산다』 편집장, 2007년 철도노조 기관지 『철도노동자』 편집주간으로 활동했다. 같은 제목의 시집과 산문집 『젊은 날의 시인에게』가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만화로 보는 철도이야기> - 2017년 5월  더보기

기획후기 꼭 10년이 걸렸습니다 2006년 3·1파업 직후 이 책은 기획되었습니다. 철도노조 기관지 ‘철도노동자’ 565호에 KT 이해관 동지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KT노조를 이끌었던 필자를 비롯한 지도부가 비판받아야 할 지점은 투쟁에 실패한 데 있는 게 아니라 바로, 투쟁에 참여한 노동자들에게 역사적 자긍심을 심어주지 못했다는 점이다. …… 역사를 믿지 못할 때 노동자의 선택은 현실이라는 이름의 투항이다. 그리고 그 귀결점은 KT의 구조조정 사례가 보여주듯 끝없이 반복되는 구조조정과, 그를 어쩔 수 없는 불가피한 현실로 받아들이는 임금노예로서의 삶뿐이다.” 구조조정이 끝없이 반복되는 철도노동자에게 “역사적 자긍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2007년 ‘철노60년사 발간준비팀’이 만들어졌습니다. 흩어져 있는 자료들을 정리하고 인터뷰가 시작되었습니다. 2009년에는 ‘자료실’이 만들어졌습니다. ‘철도노동자’ 591호에 ‘만화로 보는 철노100년사’를 연재하기 시작했습니다. 2011년 ‘철도노동자’ 616호까지 다섯 차례 연재되었습니다. 2014년에는 일제시대와 해방공간부터 1994년 ‘전지협공동파업’까지 경험한 선배님들의 인터뷰 기록을 『철도이야기』와 『아! 전기협』 시리즈로 간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작업은 끝이 없어 보였습니다. 1994년 이후의 방대한 자료정리와 인터뷰는 후일로 미루고 일단 중간 정리를 해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족하기만 한 작업입니다. 능력의 부족, 노력의 부족……. 하지만 여기까지입니다. 나머지는 후배들의 몫이겠지요. 부족하지만 철도노동자들의 힘으로 만들었다는 데 위안을 삼겠습니다. 철도 건설부터 민주노조 건설까지의 집필은 김병구 동지가 맡았습니다. 철도민영화저지투쟁 시기의 집필은 지영근 동지가 맡았습니다. 백남희, 백성곤, 오진엽, 유균, 이진영, 이철의, 이한주, 조연호, 황하일 동지가 함께 고생했습니다. 2000년 철도노조 직선제투쟁부터 함께해온 최정규 동지의 헌신적인 노력이야말로 이 책이 있도록 만든 힘입니다. ‘노동자역사 한내’의 도움이 없었다면 이 책은 나오지 못했을 것입니다. 특히 수많은 선배님들을 인터뷰하고 정리한 유균 동지의 눈물겨운 노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이 책을 꼼꼼히 살펴보며 바로잡아 주신 박준성, 안태정 선생님께, 돈이 안 될 게 뻔한데도 출판을 맡아 주신 ‘갈무리’ 식구들께, 연재되는 동안 많은 의견과 조언을 주신 동지들께 감사드립니다. 이 책은 수많은 동지들과 함께 만들었습니다. 동지들께 큰절 올립니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